본문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좌측메뉴 바로가기


트위터 페이스북

CBNU뉴스

홈 뉴스센터 CBNU뉴스
총 게시물 3118 개    페이지 3 / 312
CBNU 뉴스 목록
제목 작성일 조회수
기계공학부 강승민 학생,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학술지 논문 게재의 사진 기계공학부 강승민 학생,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학술지 논문 게재 기계공학부 강승민 학생(4학년, 지도교수 김건휘)은 미국 화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 Interfaces (IF=5.4)'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학부생이 SCIE급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번 연구는 연구 결과를 인정받아 “Synthesis of Hierarchical Superhydrophilic/Superhydrophobic Nanostructured Surfaces for Oil/Water Separation(오일/물 분리를 위한 계층적 초친수성/초소수성 나노 구조 표면의 합성)"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 모사 기술을 응용하여 금속 그물망 위에 나노 입자를 순차적으로 쌓아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빈 공간들로 이루어진 다공성 계층 구조를 성장시켰다. 이를 통해 물 분자와 쉽게 결합하는 초친수성 표면과 물 분자와 쉽게 결합하지 못하는 초소수성 표면을 제작하여 유수분리 필터를 개발했다. 이 필터는 전기 및 화학 반응을 통해 표면 구조를 형성하고, 구리수산화물과 SiO2 입자로 코팅하여 기존의 유수 분리 방식보다 우수한 내구성과 분리 효율을 보였다. 연구에서 제시된 전기화학적인 과정을 통해 나노구조를 제어하고, 뛰어난 유수분리 성능과 안정성을 갖는 멤브레인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친수성과 초소수성 표면을 제작함으로써 산업 분야에서 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강승민 학생은 “나노 제작 기술을 통한 상 분리 연구를 진행하면서 학부 수준의 학습을 넘어 더 깊이 있는 전문성과 지식을 쌓고자 대학원 진학을 결정했다.”라고 말하며 학업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2024.02.21 946
생물학과 지희원 학생, 제 55회 한국실물분류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의 사진 생물학과 지희원 학생, 제 55회 한국실물분류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생물학과 지희원 학생(4학년, 지도교수 송준호)이 지난 2월 1일(목)부터 2월 2일(금)까지 국립공주대학교에서 열린 ‘2023년도 제55회 한국식물분류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에서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지희원 학생은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솜양지꽂(장미과)의 미세형태학적 연구(Micromorphology of Potentilla discolor (Rosaceae) us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라는 주제로 발표해 상을 받았다. 이 연구는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번백초라는 한약재의 기원종인 솜양지꽃의 미세형태학적 형질을 검경하고 기재하며, 약용 식물의 감별 및 미세형태 형질의 분류학적 적용 가능성 대해 제안해 주목을 받았다. 한편, 한국식물분류학회는 식물 다양성과 계통 유연관계에 대한 분야를 연구하고, 학술적 발전과 지식의 보급을 위해 활동하는 학회로 식물분류학 분야의 연구 및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2024.02.21 809
천문우주학과 강길구, 조아라씨, 2023과학기술문화콘텐츠 아이디어 해커톤 최우수상 수상의 사진 천문우주학과 강길구, 조아라씨, 2023과학기술문화콘텐츠 아이디어 해커톤 최우수상 수상 천문우주학과 강길구(석사 1년), 조아라씨(통합과정 2년, 지도교수 김용기)가 ‘과학기술문화 콘텐츠 아이디어 해커톤’ 영상 콘텐츠 부분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강길구, 조아라씨는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진행한 ‘과학 문화 전문 인력 양성’ 콘텐츠 디벨로퍼 기초 과정을 수료해 지난 해 9월 9일(토)부터 9월 10일(일)까지 양평 블룸비스타 호텔에서 진행된 ‘과학기술문화 콘텐츠 아이디어 해커톤’에 영상 콘텐츠 부분으로 최종 선발돼 11월 25일(토) 대전 인터시티호텔에서 열린 ‘2023 과학문화산업 소통축제’의 일환으로 열린 ‘콘텐츠 아이디어 해커톤’의 결선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강길구, 조아라씨는 남춘희(국립백두대간수목원 수목원서비스본부 수목원교육실 총괄)씨와 팀을 이뤄 올바른 지식 전달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여러 분야의 융합된 영상 콘텐츠 아이디어를 고안하고 기획 발표해 상을 받았다. 강길구 씨는 “10여 년 동안 천문학 분야와 관련된 생각을 하면서 점점 생각의 흐름이 딱딱해지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대중들에게 천문학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말랑한 사고방식이 필요하다고 느껴 이번 대회에 참여 했으며, 이번 아이디어 해커톤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계시는 분들과 대화하고 소통하는 시간을 통해 학창 시절 소형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보며 느꼈던 두근거림을 다시 한번 느꼈다”며 수상 소감을 밝혔고, 조아라 씨는 “과학 기술을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콘텐츠를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 다른 분야의 전문가분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새롭고 뜻깊은 기회였다. 또한 이렇게 모은 아이디어를 통해 천문학을 바탕으로 대중들에게 과학 기술의 중요성을 전달할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었고, 장관상을 수상할 수 있어 기쁘고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2024.02.14 1026
전기공학전공 팜 반 카인씨, 2023한국통신학회 우수논문상 수상의 사진 전기공학전공 팜 반 카인씨, 2023한국통신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전기공학전공 팜 반 카인(Phan Van Khanh, 석박사통합과정 4년, 지도교수 홍종필)씨가 1월 31일(수)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에서 열린 ‘2023년도 추계종합학술발표회 우수논문 시상식’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팜 반 카인씨는 “A mismatch increment method to improve the SRAM-based PUF stability(SRAM 기반 물리적 복제 불가능 보안회로의 출력비트 불안정성 개선을 위한 미스매치 증가 기법)”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해 상을 받았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보안 솔루션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경량 기기용 정보보안 시스템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제안된 보안 회로는 자율주행 자동차, 지능형 전력망, IoT 센서 디바이스 등 물리적 복제 공격에 취약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한편, 홍종필 교수 연구실은 2013년부터 정부 과제인 기본 연구,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을 거쳐 한국전력연구원, 삼성전자 등의 산업체와 함께 관련 기술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내외 지식재산권을 확보해 차세대 경량 보안 시스템 연구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2024.02.14 800
물리학과 리코씨, 2024 한국초전도저온학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의 사진 물리학과 리코씨, 2024 한국초전도저온학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물리학과 리코(Rico P. Putra, 박사수료, 지도교수 강병원)씨가 지난 1월 24일(수)부터 26일(금)까지 한국초전도저온학회가 주관한 ‘2024 Winter Conference of KSSC’에서 우수 논문 발표상(구두 발표)을 수상했다. 리코씨는 ‘Probing a Local Structure of ZnO buffered MgB2 Films via Polarized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각도 의존성 EXAFS를 이용하여 ZnO 완충층 위에 증착된 MgB2 박막의 국소구조 탐색)’이라는 주제로 발표해 상을 받았다. 이 연구에서는 MgB2 초전도선재 응용을 위한 새로운 완충층으로 산화물인 ZnO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임계온도는 유지하면서 고자기장 영역에서 임계전류밀도가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향상된 자속고정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인 국소구조 분석을 수행하여 초전도 특성이 최적화되는 구조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ZnO 완충층을 적용한 MgB2 초전도 선재의 전력분야 응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한편,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1998년 창립된 한국초전도학회와 1996년 창립된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가 2020년에 통합한 학회로서 초전도 관련 이론부터 그린뉴딜, 신재생 에너지, 양자 기술 응용 분야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분야에 관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초전도 및 저온 기술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2024.02.14 848
㈜준호네식품 신재희 대표, 축산학도의 꿈을 응원합니다!의 사진 ㈜준호네식품 신재희 대표, 축산학도의 꿈을 응원합니다! 신재희 ㈜준호네식품 대표가 1월 30일(화) 오전 11시 대학본부 5층 접견실에서 축산학도들의 꿈을 이뤄달라며 장학기금으로 2천만 원을 쾌척했다. 이 날 기탁식에는 신재희 ㈜준호네식품 대표와 고창섭 총장, 황재훈 대외협력본부장, 최성호 농업생명환경대학장(축산학과 교수)이 참석했다. 신재희 ㈜준호네식품 대표는 “축산학과를 졸업한 자녀의 아버지이자 축산물 가공 처리를 진행하는 회사의 대표로서 우수한 충북대의 축산인재와 함께 발전해 나가고 싶어 기탁하게 됐다. 축산학도들이 품은 꿈을 이룰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충북대를 졸업한 우수한 인재도 계속 채용할 예정”이라며 기탁의 뜻을 밝혔다. 이에 고창섭 총장은 “어려운 경기에도 우수한 축산인재 양성을 위해 힘써주신 신재희 대표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축산학과 학생들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신 만큼 충북대도 학생들이 더 나은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한편, 축산학과는 1955년부터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우리나라의 주요 축산 관련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며 축산업 발전과 국민 건강증진에 이바지하고 있다. 2024.02.14 489
약학과 홍진태 교수,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선출의 사진 약학과 홍진태 교수,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선출 약학과 홍진태 교수가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신입 정회원으로 선출됐다. 지난 1월 25일(목)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홍진태 교수에게 ‘제 9분회-약학’분야 정회원으로 선출하고 회원인증서를 수여했다. 홍진태 교수는 탁월한 학술연구 업적과 국가신약개발재단 이사장, 기초의과학분야 선도연구센터장 등의 국가 의학분야 발전에 이바지한 업적을 인정받아 대한민국의학한림원 2024년 신입 정회원으로 선출됐다. 홍진태 교수는 “의학 및 의학 관련 학문 분야 국내 최고의 석학 단체인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출되어 매우 영광스럽다”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의학 발전과 국민 건강증진은 물론 관련 분야 기초학술연구 발전과 산업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의학 및 관련 학문 분야 최고의 석학 단체로서 한국 의학의 진흥과 선진화를 선도함으로써 국민건강을 향상시키고, 중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보건의료정책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자 2004년 창립됐다. 2024.02.08 930
물리학과 이현석 교수 연구팀, ‘트라이온’ 생성 원리 찾아의 사진 물리학과 이현석 교수 연구팀, ‘트라이온’ 생성 원리 찾아 물리학과 이현석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하고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연구단 부연구단장 및 UNIST 화학과 서영덕 교수와 함께한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와이어 기반의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여 엑시톤과 트라이온의 상호변환을 능동제어하고 실시간 발광특성 분석이 가능케 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트라이온의 생성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차세대 반도체로 주목받고 있는 2차원 반도체는 불과 단일 원자층 수준의 두께로 인해 단위 부피 당 광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유연하기까지 하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면, 첨단 유연 소자(flexible device), 나노광소자, 태양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2차원 반도체의 주요 반도체광학 특성 중 전자-정공이 쌍을 이루는 엑시톤(exiton)1)이 있다. 이들의 생성 및 재결합 과정을 이용하여 발광소자 및 광응용소자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극성 엑시톤인 트라이온(trion)의 생성 및 정밀 제어는 소자에 많은 기능성을 제공한다. 금속과 반도체를 결합하면 새로운 광학적 · 전기적 특성을 가진 다기능 이종접합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금 나노와이어에 2차원 반도체인 이셀레늄화 몰리브덴(MoSe2)단일층을 결합해 복합 구조를 만들고, 탐침증강현미경과 결합하여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을 구축했다. 잘 디자인된 금 나노와이어 구조에 빛을 쏘이면 플라즈몬의 표면 정상파를 구현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를 이용해 2차원 반도체의 엑시톤으로부터 트라이온으로의 변환을 유도하려고 하였는데, 실제로는 전하의 다중극 모드도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번 실험을 통하여 규명할 수 있었다.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은 광 회절한계를 뛰어넘는 약 10 nm의 공간분해능으로 반도체 입자들에 대한 나노광특성의 실시간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트라이온의 생성 원리를 규명하고, 엑시톤-트라이온 상호변환의 가역적 능동제어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나노 크기의 영역에 빛을 집속할 수 있는 안테나 역할의 금 탐침은 에너지가 높은 열전자를 자체 생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전자들이 2차원 반도체로 주입되어 보다 능동적으로 트라이온 생성을 조절할 수 있었다. 이렇듯 연구진은 단순 고정밀 측정장비의 개발이 아니라 측정과 더불어 물질의 상태까지 초고분해능으로 실시간 능동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능동제어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물리학과 김수진 씨, POSTECH 물리학과 통합과정 강민구(제1저자), 주희태, 구연정, 이형우 씨 등이 참여했다.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최근 게재된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한국화학연구원, UNIST, 기초과학연구원(IBS)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2024.02.08 874
수의과대학, 제 68회 수의사국가시험 전원 합격 쾌거의 사진 수의과대학, 제 68회 수의사국가시험 전원 합격 쾌거 수의과대학이 2024년도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주관한 제68회 수의사국가시험에서 응시생 45명이 전원 합격하는 영광을 안았다. 이번 제68회 수의사국가시험은 국내·외 대학에서 536명이 원서를 접수했으며, 515명이 합격해 96.8%의 합격률을 보였다. 수의대는 지난 1993년 첫 졸업생들이 치른 제37회 수의사 국가시험에서 100% 합격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전국 최상위권의 합격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1998년 이상명(94학번), 2006년 김수경(02학번), 2010년 강효민(06학번), 2021년 장명근(17학번) 학생이 전국 수석을 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 현상환 수의과대학장은 “수의사국가시험 전원합격은 충북대 수의대만의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을 기반으로 학생들의 6년간의 끊임없는 교육에 대한 열정으로 비롯되었으며, 이와 함께 수의사국가고시반 운영 등 학생 중심적 교육을 시행한 결과”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수의과대학은 2021년 세종 충북대학교 동물병원을 개원했으며, 오는 2027년 신축 동물병원 개원을 통해 세계적인 수의과대학으로 발돋움하고자 힘쓰고 있다. 2024.02.08 705
물리학과 김가현 교수, 2024년 ‘1월 이달의 연구자’로 선정의 사진 물리학과 김가현 교수, 2024년 ‘1월 이달의 연구자’로 선정 우리 대학은 2024년 1월의 이달의 연구자로 김가현 물리학과 교수를 선정했다. 김가현 교수는 피인용 지수(Impact Factor) 15.9, 학문 분야별 IF값 상위 6.5%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Small Structures(스몰 스트럭쳐스)’에 ‘Dynamics of Plasma-Assisted Epitaxial Silicon Growth Driven by a Hydrogen-Incorporated Nanostructure for Novel Applications(수소화된 나노구조에 기인하는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의 성장 원리)’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해 이번 이달의 연구자로 선정됐다. 이 연구에서 연구진은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의 주된 결함요소가 수소화된 나노 구조인 것을 규명했으며, 이와 관련한 단결정 실리콘의 저온 결정성장 원리를 실험과 이론적 계산을 통해 상보적으로 규명했다. 이 연구는 현대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재료인 결정질 실리콘의 결정결함에 관한 보편적 연구인 동시에, 결정질 실리콘의 새로운 형태인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의 성장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다. 이 논문에서 연구진은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의 신규성 및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고효율 태양전지 공정 중 발생하는 공정 불량으로만 간주했으며, 지난 10년간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에 관한 연구는 주로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의 성장 자체를 억제하는 연구와 결함을 제어하여 반도체 소자로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 등에 제한되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다른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의 특징적인 나노구조와 공정변수 조절에 따른 나노구조의 제어법에 대해 집중해 나노 다공 구조의 실리콘 소재를 상향식으로 성장하여 반도체 소자 이외에도 전지, 수소 저장, 바이오 및 폭발물까지도 응용이 가능한 다공성 실리콘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김가현 교수는 “본 연구는 기존에는 단순히 문제점/단점이라고만 생각하고 주목하지 않던 에피탁시 실리콘의 나노다공구조를 반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와 새로운 응용 분야에 대한 탐색을 진행한 연구로써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의 나노다공구조를 활용한 많은 응용 연구가 기대된다”며 “공동연구자들의 도움으로 좋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게 됐다. 모든 사람이 하는 연구가 아니라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남들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때 새로운 연구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 이번 논문은 연구의 마무리가 아니라 새로운 연구 분야의 시작이라고 생각하고 앞으로도 플라즈마 에피탁시 실리콘 분야의 우수 연구 결과를 많이 도출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은 논문 발표 학술지의 피인용지수(IF) 및 학문 분야별 IF 값, R&D 수주 금액, 기술이전 금액 등을 기준으로 매달 ‘이달의 연구자’를 선정하고 있다. 2024.02.05 828
게시물 검색

퀵 링크